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론 머스크·테슬라·자율주행·휴머노이드 로봇: 그는 왜 AI를 만들면서도 두려워하는가?

by anjumoney 2025. 4. 7.

일론 머스크는 인공지능을 위험하다고 경고하면서도, 동시에 누구보다 빠르게 자율주행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고 있다. 그는 기술자일까, 전략가일까, 아니면 생존자일까?

 

1. AI를 경고한 남자가, AI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2015년, 오픈 AI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그는 샘알트먼의 변심으로 그 조직과 멀어졌고, 오히려 GPT에 대한 공개 비판도 서슴지 않죠.

그는 인공지능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AI우리가 만든 가장 위험한 기술일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될 수도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 자율주행 자동차
  • 휴머노이드 로봇(옵티머스)
  • AI 칩 개발(Tesla Dojo)
    같은 초현실적인 프로젝트를 실현해가고 있습니다.

모순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는
AI에 대한 가장 진지한 이해자이자, 가장 치열한 대비자입니다.

 

2. 테슬라는 전기차 회사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테슬라를 ‘전기차 회사’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머스크의 생각은 다릅니다.
그는 테슬라를 이렇게 말하죠:

테슬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로봇 회사다. 바퀴 달린 로봇이 도로를 달릴 뿐이다.”

즉, 자동차는 단지 AI가 세상과 연결되는 하나의 껍데기일 뿐입니다.
진짜 핵심은 그 안의 자율주행 알고리즘(FSD),
그리고 이를 훈련시키는 도조(Dojo) 슈퍼컴퓨터입니다.

이건 마치,
오픈AI가 스타게이트를 짓는 것처럼
테슬라는 지상 최대의 '물리 기반 AI 인프라'를 만드는 중인 셈이죠.

 

3. 옵티머스: 바퀴가 아닌 다리를 단 로봇

2022년 공개된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
머스크의 비전이 어디까지 확장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옵티머스는 단순한 홍보용 로봇이 아닙니다.

  • 인간과 유사한 신체 비율
  • 인간의 동작을 모방하는 근육 제어
  • 테슬라 AI칩 기반 뇌
  • FSD 자율주행 기술이 그대로 이식됨

이 로봇의 목적은 분명합니다.
“AI가 현실 세계에서 행동하게 만드는 것”
즉, GPT가 ‘말’을 한다면, 옵티머스는 ‘행동’을 하는 AI입니다.

그리고 머스크는 이 로봇을
모든 물리 노동을 대체할 수 있다”라고 말하죠.

 

4. 왜 그는 AI를 두려워하면서도 계속 밀어붙일까?

일론 머스크는 AI가 통제 불능이 될 수 있다고 여러 번 경고했습니다.
그래서 2023년에는 직접 xAI라는 새로운 AI 회사를 차리고,
친인류적 AI(TruthGPT)”를 만들겠다고 선언하기도 했죠.

하지만 그가 AI 개발을 멈추지 않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우리가 만들지 않더라도 누군가는 만든다. 그렇다면 차라리 제대로 만들자.”

그는 통제 가능한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전력 시스템까지
모든 걸 직접 만들고 연결하려는 겁니다.

그의 전략은 일관되죠.
위험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위험을 가장 먼저 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오르는 것.

 

5. 일론 머스크는 ‘기술 독재자’인가, ‘AI 생존자’인가?

일각에서는 그를 ‘기술 독재자’라고도 부릅니다.
너무 많은 것을 만들고, 너무 빠르게 밀어붙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더 정확한 표현은,
AI 시대의 생존자”일지도 모릅니다.

그는 누구보다 기술의 힘을 잘 알고 있고,
그 누구보다 그 기술이 잘못 쓰일 가능성을 경계합니다.

그래서 그는 가장 먼저 만들고, 가장 먼저 통제하려는 겁니다.
GPT는 말하지만, 머스크의 AI는 움직입니다.
그 차이가 만들어낼 미래는, 결코 단순하지 않겠죠.

 

📺 실제로 옵티머스가 AI로만 움직이는 걸까?

아래 영상에서는 일부 장면이 원격 조종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 출처: 아래는 KBS "[이런 뉴스] AI 아닌 사람이 원격 조종?" (2024.10.15) 

 

하지만 이 논란 역시 머스크의 전략을 보여줍니다.  
'완벽한 기술보다 먼저 세상을 선점하는 쪽이 승자가 된다'는 그의 생각 말이죠.

 

다음 편 예고: “AI는 바이오까지 바꾼다?”

[6편] AI가 만들어가는 바이오 혁명

  • 엔비디아는 왜 바이오 스타트업에 투자하는가?
  • 신약개발부터 질병 예측까지, AI는 생명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관련 글 보기]

 

오픈AI·마이크로소프트가 1,500조 투자한 이유: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초지능 인프라 전쟁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 AI가 1,500조 가량을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투자한 이유는 초지능 인프라 전쟁에서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통해 AI 패권을 차지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읽힙니다. 

in-world1.com

 

"일론 머스크의 미래 전략: 테슬라·스페이스X·AI로 본 기술 패권 지도"

일론 머스크는 왜 AI 시대 미국의 미래로 불리는가? 자동차, 우주, 인공지능까지 연결된 그의 테크 제국을 해부한다.1. 머스크는 왜 이렇게 많은 걸 하려는 걸까?전기차, 로켓, 인공지능, 뇌-컴퓨

in-world1.com

 

트럼프가 말하는 '작은 정부'란? 아담 스미스부터 미국 우선주의까지

아담 스미스, 자유방임주의, 그리고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트럼프의 '작은 정부' 주장은 단순한 규제 축소가 아니라, 자유시장주의와 국가주의를 혼합한 정치경제 철학이다. 1. '작은 정부'란

in-world1.com

 

오픈AI, MS에서 독립 중? 스타게이트와 소프트뱅크 전략 완전 정리

오픈 AI가 마이크로소프트 의존도를 줄이고, 소프트뱅크 중심의 독자 인프라 체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있죠.오픈 AI, 왜 MS에서 벗어나려는 걸까?오픈 AI는

anjumoney2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