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대표 정책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그리고 높은 금리 혜택까지 더해져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품입니다.
그렇다면, 여러 은행 중 신한은행의 조건은 어떨까요? 금리, 우대조건, 신청방법까지 2025년 3월 기준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금리 정보
- 가입기간: 60개월 (5년)
- 가입금액: 월 1천 원 ~ 최대 70만 원
- 금리 조건 (세전 기준):
- 기본이자율: 연 4.5% ~ 연 6.0%
- 3년 고정 + 2년 변동 금리 구조
📅 우대이자율 적용 조건
항목 | 우대조건 | 우대 이자율 |
소득우대 | 총급여 2,400만원 이하 | 연 0.5% |
급여이체 | 30개월 이상 신한 입출금통장으로 급여이체 | 연 0.3% |
신한카드 결제 | 30개월 이상 신한카드 결제 실적 | 연 0.3% |
첫 거래 고객 | 신규 전 1년간 정기예금, 적금, 청약 없음 | 연 0.4% |
※ 모든 조건 충족 시 최고 연 **6.0%**까지 가능 (만기 시 적용)
✔️ 정부기여금 혜택은?
소득구간별 월 납입액에 따라 정부가 매칭해 주는 기여금도 중요한 혜택입니다.
🔍 예시) 총 급여 2,300만원 청년이 월 40만원 저축 시:
- 매칭 비율: 6.0%
- 월 최대 기여금: 24,000원
- 5년간 최대 기여금 약 144만원 + 이자
※ 중도해지 시, 3년 이상 유지하면 정부기여금의 60% 지급
✔️ 가입 자격 요건 (요약)
- 나이: 만 19세 ~ 34세 (병역이행자 최대 6년 연장)
- 개인소득: 총 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금융소득종합과세 비해당자
※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
✔️ 신청 방법 및 일정 (2025년 기준)
- 가입 자격 확인: 서민금융진흥원 사이트 또는 신한은행 앱(SOL)
- 가입 신청: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30분
- 적금 신규 일정:
- 1인 가구: 3월 20일 ~ 4월 11일 / 4월 17일 ~ 5월 9일
- 2인 이상 가구: 3월 31일 ~ 4월 11일 / 4월 28일 ~ 5월 9일
신청 경로: 신한은행 영업점 또는 SOL뱅크 앱
✔️ 신한은행 vs 국민은행, 뭐가 다를까?
2025년 3월 기준, KB국민은행 역시 기본금리 연 4.5%, 우대 최대 연 6.0%로 조건은 유사합니다. 하지만 국민은행은 우대조건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신한은행은 신한카드/급여이체 조건을 충족하기 쉬운 청년층에게 유리한 구조입니다.
예: 주거래가 신한은행인 직장인 청년 → 신한은행 선택이 유리
✔️ 자주 묻는 질문 (AQ)
Q1.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누구나 가입 가능한가요?
A. 아니요. 나이, 소득, 가구소득 등 자격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서민금융진흥원 자격조회 후 가입 가능합니다.
Q2. 우대조건 중 하나라도 못 채우면 금리는?
A. 우대조건 미충족 시 기본금리(연 4.5%)만 적용됩니다.
Q3. 중도해지하면 정부기여금 못 받나요?
A.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하면 기여금 60%까지 수령 가능합니다.
Q4. 우대이율은 언제 적용되나요?
A. 만기 해지 시점에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 마무리 요약
항목 | 신한은행 조건 요약 |
기본 금리 | 연 4.5% (3년 고정 + 2년 변동) |
최고 금리 | 연 6.0% (우대조건 충족 시) |
정부기여금 | 월 최대 24,000원 (소득기준에 따라) |
신청방법 | 신한은행 앱(SOL) 또는 영업점 방문 |
비과세 혜택 | 적용 가능 (요건 충족 시) |
청년도약계좌, 제대로 가입하면 5년 뒤 든든한 목돈과 함께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이 나에게 유리한지 꼼꼼히 따져보시고, 정부기여금 + 우대이자율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